골프대회 중계에서 “플라이어 라이였던 것으로 보이네요”
하는 식의 해설을 한번쯤은 들어보셨죠. 플라이어 라이(flier lie)란 풀이 다소 긴 러프 중에서도 잔디가 볼을 보내야 하는
방향으로 자라난 곳에 볼이 놓인 상태를 말합니다. 역결이 아닌 순결이라고 하면 이해가 좀 더 쉽겠네요.
플라이어 라이에서 유념해야 할 사실은 임팩트 때 볼 뒤쪽의 풀이 볼과 클럽페이스 사이에 끼기 때문에
볼에 백스핀이 잘 걸리지 않는다는 점입니다. 같은 클럽으로 쳐도 평소보다 비거리가 많이 나고 지면에 떨어진 뒤 구르는 거리인 런도 많습니다.
프로 선수들이 러프에서 친 볼이 그린을 훌쩍 넘어가거나 그린에 떨어진 뒤 한참 굴러가는 경우 플라이어 라이였을 가능성이 크지요.
따라서 볼을 러프 지역으로 보냈을 때는 볼이 놓인 곳의 잔디 상태를 잘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.
그린 방향으로 역결인지 순결인지를 확인하고 순결이라면 플라이어가 발생할 것을 예측해 번호 한두 개 정도 짧은 클럽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지요. 볼의 위치는 너무 많은 런을 줄이기 위해 양발의 가운데 또는 약간 왼쪽에 둡니다. 스탠스를 약간 오른쪽으로 오픈하면 좀 더 많은
스핀을 얻을 수 있습니다